타카하시 요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카하시 요코는 일본의 가수이다. 1991년 데뷔하여 1992년 첫 앨범 『Pizzicato』를 발매했으며, 1995년 애니메이션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오프닝곡 "잔혹한 천사의 테제"를 불러 큰 인기를 얻었다. 2000년대와 2010년대에도 싱글과 앨범을 발매하며 활동을 이어갔으며, 2021년 NHK 홍백가합전에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킹레코드 (일본) - 니시다 토시유키
니시다 토시유키는 폭넓은 연기, 가수 활동, 사회 활동으로 활약한 일본의 배우, 가수, 내레이터, 사회자로서, 반전 평화주의자로서 사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일본 배우 연합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 킹레코드 (일본) - AKB48
AKB48은 2005년 아키모토 야스시가 결성한 "만나러 갈 수 있는 아이돌" 콘셉트의 일본 여성 아이돌 그룹으로, 아키하바라 전용 극장 공연, 독특한 멤버 선발 방식, 팬 서비스, 자매 그룹 확장 등을 통해 일본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음악적으로도 성공을 거두었다. - 킹레코드 (일본)의 아티스트 - 타카쿠라 켄
타카쿠라 켄은 1956년 데뷔 후 180편이 넘는 영화에 출연하며 과묵하고 금욕적인 이미지로 일본을 대표하는 배우가 되었고, 국제적인 인지도 또한 얻었으나 2012년 은퇴 후 2014년 림프종으로 사망했다. - 킹레코드 (일본)의 아티스트 - 니시다 토시유키
니시다 토시유키는 폭넓은 연기, 가수 활동, 사회 활동으로 활약한 일본의 배우, 가수, 내레이터, 사회자로서, 반전 평화주의자로서 사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일본 배우 연합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 애니메이션 가수 - 미야모토 카나코
미야모토 카나코는 1989년 이바라키현 출생의 일본 여성 성우이자 가수로, 초등학교 때부터 연기 수업을 받고 2007년 애니메이션 주제가로 데뷔하여 프리큐어 시리즈 음악과 다양한 애니메이션 성우로 활동하며, 건강 문제로 활동을 중단한 후 복귀, 결혼과 출산 후에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애니메이션 가수 - 미야우치 타카유키
미야우치 타카유키는 1984년 《초전자 바이오맨》 주제가로 데뷔하여 《가면라이더 BLACK RX》 주제가로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고 "애니송계의 대마신"으로 불리는 일본의 가수이자 성우이다.
타카하시 요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다카하시 요코 |
원어 이름 | 高橋 洋子 |
로마자 표기 | Takahashi Yōko |
출생일 | 1966년 8월 28일 |
출생지 | 도쿄도, 일본 |
활동 시작 | 1991년 |
활동 종료 | 현재 |
별칭 | YAWMIN YAUMIN YOKO TAKAHASHI 高橋竜子 |
혈액형 | O형 |
학력 | 센조쿠 학원 음악대학 (중퇴) |
직업 | 가수 싱어송라이터 작사가 작곡가 |
장르 | J-pop 재즈 힐링 음악 애니메이션 음악 |
악기 | 보컬 |
소속 레이블 | 키티 레코드→키티 엔터프라이즈 (1991년 - 1998년) 폴리도르 (1998년 - 2000년) 프리 (2000년 - 2002년) 브로콜리 (2002년 - 2003년) b-fairy records (2003년 - 2004년) 제네온 엔터테인먼트 (2004년 - 2006년) 스타차일드 (2009년 - 2016년) 킹 어뮤즈먼트 크리에이티브→소닉 블레이드 (2016년 - 현재) |
소속사 | 키티 아티스트→키티 필름 (1991년 - 1996년) 니혼온가쿠 아티스트 (1996년 - 2000년) 프리 (2000년 - 2005년) 페하 사운드 (2005년 - 2008년) 펑키 잼 (2008년 - 2011년) 아토믹 몽키 (2011년 - 2015년) 헨미 프로모션 (2015년 - 2017년) 포시블 (2017년 - 현재) |
관련 활동 | 오모리 도시유키 |
웹사이트 | 다카하시 요코 공식 웹사이트 |
음반 정보 | |
정규 앨범 | 10 |
베스트 앨범 | 8 |
싱글 | 29 |
스플릿 싱글 | 5 |
YAWMIN 명의 싱글 | 2 |
디지털 싱글 | 4 |
미니 앨범 | 2 |
커버 앨범 | 3 |
2. 경력
다카하시는 1991년에 데뷔하여 1992년 첫 앨범인 Pizzicato|피치카토영어를 발매했고, 이 앨범은 오리콘 주간 차트에서 28위에 올랐다. 이후 몇 년 동안 Kugatsu no Sotsugyō|9월의 졸업영어, Watashi wo Mitsukete|나를 찾아줘영어 앨범을 발매했으나, 이전 앨범만큼의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995년, 애니메이션 시리즈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오프닝곡으로 사용된 싱글 〈잔혹한 천사의 테제〉를 발매했다.[1] 이 노래는 골드와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고, 오리콘 주간 차트에 여러 차례 진입했으며, 애니메이션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곡 중 하나로 자주 언급된다.[1] 그녀는 이 싱글의 여러 리믹스 버전을 발매했고, 이들 역시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1996년에는 Living with Joy|조이와 함께 살며영어 앨범을 발매했다. 음악 활동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2000년대와 2010년대 내내 싱글과 앨범을 발매했고, 이는 성공과 실패가 엇갈렸다.
다카하시의 다른 애니메이션 관련 작품으로는 〈Fly Me to the Moon〉의 "애시드 보사노바(acid bossa)" 버전과 《에반게리온: 데스 앤드 리버스》의 엔딩 테마인 〈타마시이 노 레프레인〉이 있다.
또한 그녀는 스튜디오 가이낙스(Gainax)의 20주년 기념 시리즈인 『이 추하고도 아름다운 세계』의 오프닝 테마 메타모르포제(Metamorphose)와 애니메이션 『작안의 샤나』의 엔딩 테마 "새벽에 태어나는 소녀", 애니메이션 『펌프킨 시저스』의 오프닝 테마 "푸른 불꽃"을 불렀다.[1]
2. 1. 데뷔 이전
2살 때부터 아버지에게 피아노를 배웠고, 초등학생 시절에는 다키노가와 소년소녀 합창단원이었다.[3][4] 10세 때 데즈카 오사무 작품 이미지 앨범에 참여했다. 고등학교 시절 밴드를 결성했고, 대학에서는 경음악 서클에서 활동하며 오페라 가수를 목표로 했다.동생은 작곡가 타카하시 고(たかはしごう)이며, 그의 아내 마츠노 유리미(松野有里巳)는 올케이다. 보컬 트레이너인 누나가 있고,[5] 형도 있다.
부모는 후쿠시마현 이와키시 출신이며,[6] 외할아버지는 미야다이쿠(宮大工, 신전 건축 목수)였다.[7]
1985년 코마자와 대학 경음악 서클 멤버들과 '''야우파워(ヤウパワー)'''라는 밴드를 결성했다.[8] 1986년 키티 레코드가 주최한 콘테스트 "제1회 CSPC"에 야우파워로 출전, 입상했다.[8] 이를 계기로 1987년 구보타 도시노부의 『백 코러스 오디션 제의를 받고, 약 50명의 오디션을 통과하여[9] 백 코러스 그룹 "'''러브 머신(LOVE MACHINE)'''" 멤버로 쿠보타의 공연을 지원했다.[10]
메이저 데뷔 전인 1987년부터 쿠보타 토시노부, 마쓰토야 유미, 윙크 등 콘서트에서 백 코러스를 맡았고, 이마이 미키, 사이토 유키 앨범에는 코러스로 참여했다. 당시 오페라 가수가 아닌 노래하는 언니를 목표로 했으며,[11] 스튜디오 뮤지션으로 CM송과 사운드트랙 등에서 보컬을 담당했다.
2. 2. 1991-1994: 솔로 데뷔와 초기 활동
다카하시는 1991년에 데뷔하여 1992년 첫 앨범인 Pizzicato영어를 발매했고, 이 앨범은 오리콘 주간 차트에서 28위에 올랐다. 이후 몇 년 동안 Kugatsu no Sotsugyō영어, Watashi wo Mitsukete영어 앨범을 발매했으나, 이전 앨범만큼의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2. 3. 1995-2000: 《신세기 에반게리온》과 전성기
다카하시는 1995년에 애니메이션 시리즈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오프닝곡으로 사용된 싱글 〈잔혹한 천사의 테제〉를 발매했다.[1] 이 노래는 골드와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고, 오리콘 주간 차트에 여러 차례 진입했으며, 애니메이션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곡 중 하나로 자주 언급된다.[1] 그녀는 이 싱글의 여러 리믹스 버전을 발매했고, 이들 역시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1996년에는 《Living with Joy》 앨범을 발매했다. 다카하시의 다른 애니메이션 관련 작품으로는 〈Fly Me to the Moon〉의 "애시드 보사노바(acid bossa)" 버전과 《에반게리온: 데스 앤드 리버스》의 엔딩 테마인 〈타마시이 노 레프레인〉이 있다.
2000년, 당시 소속되어 있던 기획사와 레코드 회사를 그만두고 잠시 프리랜서가 되었다.[15] 그 후 5년간은 케어워커(care worker, 요양 보호사)로 요양 보호 업무에 종사했다.[16] 당시를 회고할 때는 "연예계를 은퇴했던 기간"이라고 말한다.[16] 그러나 연예 활동을 완전히 중단한 것은 아니었고, 제안받은 TV 출연이나 녹음, 라이브 활동 등은 계속했다.[17]
2. 4. 2000-2009: 프리랜서 활동과 공백기
다카하시는 가이낙스(Gainax)의 20주년 기념 시리즈인 『이 추하고도 아름다운 세계』의 오프닝 테마 "메타모르포제(Metamorphose)"와 애니메이션 『작안의 샤나』의 엔딩 테마 "새벽에 태어나는 소녀", 애니메이션 『펌프킨 시저스』의 오프닝 테마 "푸른 불꽃"을 불렀다.[1]2. 5. 2009-현재: 활동 재개와 현재
2009년에 “잔혹한 천사의 테제 2009 VERSION” 발매를 계기로 킹 레코드(King Records)와 계약(레이블은 스타차일드→KING AMUSEMENT CREATIVE→SONIC BLADE)을 체결했다. 전속 계약이 아닌 업무 제휴 형태였으며,[19] 주로 음반 발매 및 공식 웹사이트 운영 등을 킹 레코드가 담당했다.2010년 7월 2일, 당시 소속사였던 펑키잼(Funky Jam) 직원이 운영하는 공식 트위터 계정을 개설했다. 다음 해 2월에 소속사를 이적하면서 약 7개월 만에 업데이트가 중단되었고, 현재는 계정이 정지된 상태이다.[20]
2015년 5월, 직원이 운영하는 공식 페이스북(Facebook) 계정을 개설했다. 같은 해 6월 KING SUPER LIVE에서 오프닝 무대에 출연했고, 7월에는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애니메이션 엑스포(Anime Expo) 2015에서 마지막 날 피날레를 장식했다.
2016년 7월~8월, 『드래곤 퀘스트 라이브 스펙터클 투어』(Dragon Quest Live Spectacle Tour)에 용의 여왕 역으로 참가했다.
2019년, 『모모이로 가합전』(BS닛테레(BS Nippon Television), 닛폰 방송(Nippon Broadcasting System), AbemaTV 등)에 첫 출연했다.
2020년, '''다카하시 류코'''(高橋竜子) 명의로 TV 애니메이션 『갈과 공룡』(ギャルと恐竜)의 엔딩 테마곡을 담당했다.[21][22]
2021년, NHK 홍백가합전에 특별 기획 “컬러풀 특별 기획 ~내일을 향한 용기를 주는 노래~” 코너로 첫 출연했다.
2022년 4월 12일 방송된 『춤추는! 산마 고덴!!』(踊る!さんま御殿!!)에 출연하여 아키시가 산마(明石家さんま)와의 호흡으로 웃음을 자아냈다.[23]
2024년 6월 30일 방송된 『NHK 노래자랑』(NHKのど自慢)에 게스트로 출연하여 “잔혹한 천사의 테제”를 열창했다.
3. 음반 목록
타카하시 요코는 1991년 싱글 〈오카에리〉로 데뷔했다. 대표곡으로는 〈잔혹한 천사의 테제〉, 〈영혼의 루프랑〉 등이 있다.
타카하시 요코의 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아래는 오리콘 차트 최고 순위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연도 | 제목 | 일간 | 주간 | 월간 | 연간 | 앨범 |
---|---|---|---|---|---|---|
1995 | "FLY ME TO THE MOON" | — | 52 | — | — | Living with Joy |
"잔혹한 천사의 테제/FLY ME TO THE MOON" | — | 17 | — | — | 신세기 에반게리온 | |
2003 | "잔혹한 천사의 테제/FLY ME TO THE MOON" | — | 41 | — | — | |
2004 | "metamorphose/Natsuiro no Kakera" | — | 23 | — | — | 그것은 때때로 당신을 고무시키고, 때때로 버팀목이 된다 |
2006 | "Tamashī no Refrain/THANATOS -IF I CAN'T BE YOURS-" | — | 39 | — | — | 신세기 에반게리온 데케이드 |
3. 1. 싱글
수록곡(발매 중지)